교육방법 및 교육Engineering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0-28 10:26
본문
Download : 교육방법 및 교육공학.pptx
설명
_SLIDE_1_
교수매체 효과(效果)성 연구의 쟁점과 방향
교육방법 및 교육工學
_SLIDE_2_
교수매체 효과(效果)성 논쟁 (1차)
Clark의 견해
교육 매체는 내용 전달 수단에 불과
특정 교육방법 → 특정 학습효과(效果)
교육 매체 ≠ 교육 방법
Kulik et al에 대한 Clark의 반론
교수strategy, 수업내용, 노력의 정도, 매체의 신기성(novelty) 효과(效果) 등의 변인을 통제해야
_SLIDE_3_
교수매체 효과(效果)성 논쟁 (1차)
Kozma의 견해
“Clark은 매체와 방법 간의 분열을 조장했다”
매체와 방법 모두 수업설계의 일부이며 서로 필수불가결의 관계
학습 중 인지 활동은 매체 特性(특성)에 영향 받음
Petkovich와 Tennyson의 반론
매체의 속성은 학습에 영향을 줌
_SLIDE_4_
교수매체 효과(效果)성 논쟁 (1차)
Ullmer의 견해
매체는 단순한 내용전달 수단이 아님
매체의 잠재성을 연구해야
_SLIDE_5_
교수매체 효과(效果)성 논쟁 (1차)
Cunningham의 견해
Clark의 견해에 대해 중도적 입장
주변의 해석적 맥락을 고려하지 않으면 컴퓨터 기반 수업(CBI)과 전통적 수업 간의 학습효과(效果)를 비교할 수 없음
_SLIDE_6_
교수매체 효과(效果)성 논쟁 (2차)
Kozma의 견해
매체와 방법은 상호불가분 관계이며 모두 학습에 영향을 줌
구성주의 견지 : 매체는 지식구성의 촉매
특정 매체속성 → 특정 학습효과(效果)
_SLIDE_7_
교수매체 효과(效果)성 논쟁 (2차)
Jonassen, Campbel l & Davidson의 견해
매체는 지식 구성의 촉매. 매체와 방법의 분리는 무의미함 (구성주의적)
Reiser의 견해
특정 매체가 특정 교수법을 가능하게 하는 경우가 있으므로 방법과 매체는 분리 불가능
Shrock의 견해
특정 매체속성만이 특정 수업strategy을 가능하게 한다면 매체는 학습성과에 영향을 줌
_SLIDE_8_
교수매체 효과(效果)성 논쟁 (2차)
Clar…(省略)






교육방법,및,교육공학,공학기술,레포트
교육방법 및 교육Engineering
교육방법 및 교육Engineering
교육방법 및 교육공학 , 교육방법 및 교육공학공학기술레포트 , 교육방법 및 교육공학
순서
Download : 교육방법 및 교육공학.pptx( 89 )
레포트/공학기술
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