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조의 origin와 그 정형성의 變化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09-24 06:58
본문
Download : 시조의 유래와 그 정형성의 변화.hwp
그러나 안자산과 조윤제 선생등은 6구체를 주장해 왔으며, 오늘에 와서는 6구체로 보는 것이 정설로 인정되고 있따 이러한 6구의 구수는 또 제각기 두 구절씩 짝이 되어 하나의 행, 즉 1장을 이루게 되어 있따 따라서 시조는 3행 45음, 즉 3장 6구 45자로 하나의 시를 형성하는 정형시로 볼 수 있을 것이다.
음수율은 3·4조 또는 4·4조가 기본 운율로 되어 있따 그러나 기본 운율에 1음절, 또는 2음절 정도의 가감은 무방하다. 그 기본형을 도시화 하면
초장 3 · 4 V 4 · 4 /
중장 3 · 4 V 4 · 4 /
종장 3 · 5 V 4 · 3 /
과 같다. 그러나 이것은 어디까지나 하나의 가상적인 기준형에 지나지 않는 것이고, 절대 불변하는 고정적인 제약을 받는 것이 아님은 우리 말 자체의 성질에서 오는 신축성에서라 할 것이다.
1. 서론
2. 본론
(1) 시조의 근원
1>시조의 모체
2> 시조의 발생
(2)시조 형태의 특징
3. conclusion
(2)시조 형태의 특징
시조는 3행으로써 1연을 이루고 있으며, 각 행은 4보격이며, 이 4보격은 다시 두개의 숨묶음으로 나뉘어져 그 중간에 사이 쉼을 넣게 되어 있따 그리고 각 음보는 3 또는 4개의 음절로 구성되는 것이 보통이다. 정병욱, 같은 책, pp.179~180
형태상으로 이상과 같은 음수율과 구수율을 지닌 기준형의 시조를 단형시조 또는 평시조라고 부른다. 하지만 종장은 규제를 받아 1구는 3음절로 고정되면 2구는 5음절 이상이어야 한다. 정병욱, 앞의 책, p.179
구수율은 춘원이나 노산이 시조를 12구체로 파악하였고 이병기 선생은 초장과 중장을 각각 2구로 보고 종장의 특이성을 살리기 위해 종장만을 4구로 보아 8구체를 주장하기도 했다. 이 같은 종장의 제약은 시조 형태의 정형과 와울러 평면성을 탈피하는 시적 생동감을 깃들게 한다. 그러나 제 1구를 제외한 어누 구절이나 하나만이 길어졌을 때에는 중형시조 또는 엇시조라 하고, 두 구절 이상이 길어진 것을 장형시조 또는 사설시조라고 한다.
3. conclusion
이상으로 시조의 발생과 그 기원 또한 형태적인 면까지 알아…(To be continued )
설명
Download : 시조의 유래와 그 정형성의 변화.hwp( 85 )
레포트/인문사회




,인문사회,레포트
시조의 origin와 그 정형성의 變化
순서
시조의origin와그정형성의變化
시조의유래와그정형성의변화 , 시조의 유래와 그 정형성의 변화인문사회레포트 ,
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