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ta Types and Dealing with Data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0-26 14:58
본문
Download : Data Types and Dealing with Data.hwp
double : float보다 자세히 표현할 수 있는 부동 소수점형의 변수(double-precision). 정밀도(휴효숫자)는 대략 소수점 이하 19자리까지이며 8byte(64bit)의 크기를 할당받는다. 불필요하게 메모리의 크기를 많이 차지하는 변수를 사용한 경우 실행 속도나 program의 크기면에서 비효율적이기 때문이다 참고로 지금까지 설명(說明)한 각 변수의 범위는 컴파일러에 따라서…(생략(省略))
,기타,레포트
순서
Data Types and Dealing with Data
<참고> 부동소수점인 경우 정수부문(지수)과 소수부문(가수)으로 나누어서 생각을 해야 한다. 소수점은 따로 표현하지는 않으며, 지수부와 가수부의... , Data Types and Dealing with Data기타레포트 ,
레포트/기타
Download : Data Types and Dealing with Data.hwp( 29 )
<참고> 부동소수점인 경우 정수부문(지수)과 소수부문(가수)으로 나누어서 생각을 해야 한다. 소수점은 따로 표현하지는 않으며, 지수부와 가수부의 사이에 있는 것으로 간주한다. 소수점은 따로 표현하지는 않으며, 지수부와 가수부의...






다.설명
<참고> 부동소수점인 경우 정수부문(지수)과 소수부문(가수)으로 나누어서 생각을 해야 한다. 지수부는 64+지수(바이어스법)로 양의 지수와 음의 지수를 표현하며, 가수부의 부호는 부호 비트(Sign Bit)에 직접 표현하다(양:0,음:1). 다음은 4byte(32bit)의 크기를 가진 부동소수점을 메모리에 나타낸 경우이다. 음수부문이 불필요한 경우 unsigned를 사용하면 효율성을 높일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처럼 program을 작성하면서 어떤 종류의 변수를 사용할 것인지는 program 수행능력(Program Performance)의 평가척도가 된다된다.(2.2E-308~1.8E308)
위에서 intro 된 기본 변수들은 대부분의 현실문제를 해결하는데 충분한 데이터형이지만 필요에 따라서는 음수부분이 불필요할 때가 있다 이럴 때 unsigned라는 키워드를 사용하면 이 문제를 해결 할 수 있다
unsigned char x; /* 0 ~ 255 */
unsigned int y; /* 0 ~ 65,535 */
unsigned long z; /* 0 ~ 4,294,967,295 */
위에서 unsigned를 사용하면 사용 범위가 다소 변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 이유는 부호 비트(Sign Bit)가 필요없기 때문이다 부호 비트자리에 정보를 저장할 수 있기 때문에 원래 범위보다 다소 범위가 늘어났다.